기업 윤리의 제도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업 정책에 있어서 자발적으로 이루어지는 것과 법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또한, 사회적으로 통용되는 행동을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는 책임감 있는 기업에서 받아들이고 적용되는 핵심 정책 또는 최선의 정책들이 있다. 기업 윤리의 효과적인 실행을 위해서는 이 세 가지 측면, 자발적, 법적, 핵심 정책의 윤리 및 준수 프로그램에 모두 융합되어야 한다. 이러한 융합을 통해 불법 행위의 위험을 잘 다룰 수 있는 윤리적인 문화를 만들게 된다.
제도화란 법적 및 사회적 힘과 관련된 것이다. 이를 통해 어떤 구체적 행위에 대한 이해 당사자들의 판단에 기초하여 기업에 보상을 주든지, 엄벌을 주기도 한다. 기업 윤리의 제도는 그 기업의 명성을 쌓기 위한 규범으로 여기지는 법, 관습과 조직 내 프로그램과 관련되어 있다. 이는 곧 예상 행동 범위에서 벗어난 것들은 윤리적인 문제로 간주되며, 이는 이해 당사자들과도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제도를 통해 요구 사항, 구조와 사회적인 기대가 이뤄지며, 이는 윤리적인 판단 결정을 내리는데 보상 혹은 제재를 가한다. 예를 들어 정부 규제기관에서는 윤리적인 문화를 형성하기 위해 적합한 행위와 핵심 관례들을 입법해준다.
우리는 윤리적 행위의 범위를 살펴보고, 자발적, 핵심 관례들과 법적 준수를 위한 법률적 요건들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이 세 가지는 윤리적 문화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요소들이다. 특히, 구체적으로 경쟁, 고객, 안전과 관련된 준수 사항들에 집중할 것이다. 이후 사베인즈 옥슬리 법을 살펴보고, 증권거래법에 어떻게 이 법이 시행되며 이로 인해 기업이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또한 도드와 프랭크 법을 관찰하여 금융산업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볼 것이다.
연방판결 지침에 대한 개요를 살펴보고, 윤리적 기업 문화 형성을 위한 권고사항들과 장려정책들을 제공할 것이다. 연방판결 지침, 사베인즈 옥슬리 법, 도드와 프랭크 법, 산업 무역 협회와 사회적 기대치는 모두 핵심 실행 정책들을 지원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자발적인 책임을 살펴보고 대의명분 마케팅과 기업이익을 위한 자선 활동이 기업의 이해당사자들과의 관계를 관리하기 위한 핵심 능력으로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자발적 실행이란 기업의 신념, 가치와 자발적 계약상의 의무를 의미한다. 모든 기업은 내부와 외부의 이해당사자들의 이익을 위해 어느 정도로 지원활동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구글은 복리 후생 제도를 통해 직원들의 근무 환경을 개선하고자 노력한다. 근무하기 좋은 곳인 사실과 더불어 구글에서는 수영장, 체육관, 배구장, 탁구시설과 춤 강의 등의 오락시설을 제공하고 있다. 이 기업에서는 자신의 강아지도 직장에 데리고 올 수 있게 한다.
대부분의 기업은 자선 사업에 동조함으로써 사회와 조직에 기여한다. 법과 윤리의식은 이러한 기업의 사회 자선 사업을 확장하는데 큰 영향을 끼친다는 강력한 증거가 있다. 또한 연구를 통해 윤리적, 법적 책임이 존중되었을 때 경제 성장에 도움을 준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참고 서적 : (p.94)
Business Etics : Etical Decision Making and Cases, O.C. Ferrell, John Fraedrich, Linda Ferrel
'기업윤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 윤리(12): 사베인 옥슬리 법 (0) | 2020.03.23 |
---|---|
기업 윤리(10) : 이해관계자의 책임 (0) | 2020.03.16 |
기업 윤리(9) : 사회적 책임과 이해관계자의 상호이해 (0) | 2020.03.13 |
기업 윤리(8) :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이슈 (0) | 2020.03.12 |
기업 윤리(7) :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윤리 (0) | 2020.03.10 |
댓글